본문 바로가기

암치료

KAIST·연세대 연구팀 "면역 항암제 치료 효율 높일 것"

728x90
반응형

국내 대학 연구팀이 암세포가 면역세포를 약하게 하는 새로운 방법을 알아냈다.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는평가가 나온다.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민병소, 김호근 연세대 의대 암센터 교수와 공동으로 암 환자의 암세포가 면역세포를 억제해 면역반응을 회피하게 만드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암 환자는 암세포에 대항하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기능이 약해져 있다. T세포가 PD-1이라는 면역세포 표면에 나타나는 단백질 수용체를 많이 만들기 때문이다. T세포는 PD-1과 결합하는 단백질을 가진 세포를 공격하지 않는다. 암세포는 표면에 만들어지는 단백질인 PD-L1 혹은 PD-L2가 PD-1과 결합하는 점을 이용해 T세포의 공격을 피한다. PD-1이 많아지면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PD-1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이 면역항암제 중 최근 주목받는 ‘면역관문억제제’다. PD-1 수용체에 달라붙어 기능을 차단해 T세포가 암을 공격하는 기능을 회복시키는 원리다. 하지만 면역항암제는 아직 투여받은 암 환자 중 일부에게만 치료 반응이 나타나는 등 완벽하지 않다. 연구자들은 암 환자의 T세포 기능이 약해지는 다른 이유를 찾아 새로운 면역 치료제를 개발하려 하고 있다.

 

연구팀은 암세포가 성장하기 위해 내뿜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가 T세포의 기능을 약하게 하는 원인이라는 것을 새롭게 밝혀냈다. VEGF는 혈관을 만들도록 돕는 단백질이다. 암이 VEGF를 이용해 종양 내에 혈관을 키워 영양을 공급받는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암세포가 만든 VEGF가 T세포 표면의 수용체 ‘VEGFR2’에 결합해 T세포에 톡스(TOX)라 불리는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알아냈다. 이어 톡스가 T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기 위해 PD-1을 많이 만드는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것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암 환자의 면역항암제 치료 효율을 높이는 전략을 제시했다. 암에 영양분 공급을 끊어 암 성장을 막는 VEGF 저해제가 이미 개발됐기 때문에 이를 면역항암제와 함께 사용하면 치료 효율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동물모델에서 병행 치료를 했더니 아무것도 처치하지 않았을 때 암세포의 15%를 녹여 없애던 T세포는 면역항암제를 쓸 때는 30%, 두 치료제를 모두 썼을 때는 50%가 넘는 세포를 녹여 없앴다.

 

신 교수는 “암세포와 면역세포 사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상세히 연구해 임상 치료 전략을 제시한 중요한 연구”라며 “향후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세로운 면역기전을 연구하고 면역항암제 개발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김창곤 KAIST 의과학대학원 박사과정생과 장미 연세대 의대 연구교수가 공동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이달 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에 실렸다.


◆“리보세라닙” 완전관해 가치는 ??? 


“이렇게 많은 완전관해를 가진 ”항암제“약은 세상에서 단,하나도 없다 

-국내 애널들은 약 가치를 알지못한 애들이다(경제학 전공이라) 


◆혈액암(2명 완전관해)/페암(2명 완전관해)/전이성위암(3명 완전관해): ESMO 2018 

◆간암(간암말기 완치사례: 리보세라닙+캄레리주맙: 임상3상) 

◆대장암(1명 완전관해- 네이쳐자매지)/ 

난소암(2명 완전관해 및 부분관해(PR): 53%)(2018-0905) 

◆위암(2명 완전관해: 3차치료제로 3상 결과): ESMO 2019-0930 

갑상선암 750mg 복용 PFS 34.9개월(100% 통제)(2019-1111) 

◆낭성암종 글로벌 임상 2상 승인 

◆화학 내화성 진행성 자궁 경부암 환자 (2019-1114) 

구제 치료로서 Apatinib의 임상 결과 

<논문 핵심 내용> 

PFS 중간 값 5.8 개월 

OS 중간 값 12.2 개월 

ORR 48 퍼센트 

DCR 96 퍼센트 

종양 크기 줄어든 사례 = 84% 

◆중국: 위암:1037명 임상4상 결과 70%(729명)의 환자 치료효과(DCR)를 확인함. 

◆중국 240개 임상진행 (항서제약=100명이상 임상모집완료 환자수 7005명:) 진행중 2019-0111 현재 

◆바이오인공간: 2018-11월 2b상 허가승인 (100% 엘생지분) 

◆헤파스템: 2018-5월 2b상 허가승인(50% 엘생지분+50% 프로메세리) 

◆프로메세라 헤파스템(급성간부전/만성간부전:생명연장): 2019-1110 보스턴발표 

[ACLF 발병 위험이 높은 ACLF (Acute-on-Chronic Liver Failure) 또는 AD (Acute decompensation) 환자 24명 대상: 2a임상시험결과 -안전성과 효능 충족 확인함] 

◆네오파마 합작법인 설립(2019-11월중) 

◆ 외국인순매수행렬: 블랙록/뱅가드/지오드/TOBAM(=25만주매수 (11월중) -- 


FDA 의 Pre-NDA 파일링 100%&#8212;[11/24] 


■중국 임상현황■ 

1 위암 (Gastric cancer) 승인/판매 2014년 12월 

2 간세포암 (Hepatocellular carcinoma) 임상 3상 2014년 01월 

3 비소세포폐암 (Non-small-cell lung carcinoma) 임상 3상 2015년 01월 

4 소세포폐암 (Small cell lung Cancer) 임상 3상 2017년 03월 

5 갑상선암 (Thyroid cancer) 임상 3상 2016년 12월 

6 골육종 (Osteosarcoma) 임상 2/3상 2016년 03월 

7 대장암 (Colorectal cancer) 임상 2상 2011년 04월 

8 췌장암 (Pancreatic cancer) 임상 2상 2016년 04월 

9 신장암 (Renal cell carcinoma) 임상 2상 2016년 05월 

10 유방암 (Breast cancer) 임상 2상 2016년 05월 

11 두경부암 (Head and Neck cancer) 임상 2상 2016년 06월 

12 신경교종 (Glioma) 임상 1/2상 2016년 07월 

13 난소암 (ovarian cancer) 임상 2상 2016년 08월 

14 식도암 (esophageal cancer) 임상 2상 2016년 08월 

15 연조직육종 (Soft tissue sarcoma) 임상 2상 2017년 04월 등등. 


결론: 

1. 위의 임상사례 

: 총정리하면 에이치엘비 주당가치는 1000만원/1주 가능함 

2. 완전관해는 하나만 나와도 세계 제약사들이 들썩함; 에이치엘비는 너무 많이 나와서 무덤덤


(이유: 국내 연구진: “리보세라닙” 모든항암제 병용효과 탁월함 원인 규명) 

아래논문참조: 

암세포가 면역 반응 피해 증식하는 원리 밝혔다

반응형